다들 아시다시피, 이 제품은 SATA3(6Gb/s) 전송방식을 채택한 TLC 메모리 방식이며 500G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MLC 방식이 품질과 수명이 더 우수하나 고용량부터는 TLC와 읽기 및 쓰기 속도가 차이나는 것은 없으며 성능은 동급 삼성 860evo에 비해 약간 떨어지지만 가격적인 면에서는 확실히 우월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장착된 PC 사양 :
메인보드 intel DH77EB, 8G램, Windows10 home, 아이비릿지 3550cpu, 시게이트 500G 일반HDD.
바이오스 UEFI only(not Legacy) / no RAID, 논리 파티션 분할없음, SATA3방식(mx500) sata0슬롯 / SATA2방식(시게이트hdd) sata2슬롯.
살펴 보시죠.
(이 게시물은 제품을 구입할 예정에 있는 사람들에게 주의점과 제품 외관, 그리고 마지막 벤치결과만 보여줄 것입니다)
|
제품 외형인데, 이런 박스 형태로 받을 수 있습니다. |
|
시리얼 스티커 부분을 보면 "완전 밀봉"임을 확인할 수 있고 2대의 시리얼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 WEBM 영상은 모바일에 최적화 되지 않았습니다.
|
수입/유통, A/S 관련해서 DWcts 국내 정품임을 증명하는 정품 스티커가 박스외관에 붙혀져 있습니다. (분실방지 a/s를 위해 나중에 본체(SSD)상단에 붙히는 것을 권장합니다) |
|
소프트웨어는 어디서 받나요? |
|
무슨 제품이든, 제품 밀봉이 여부는 꼭 확인합니다. (참고 : 전자 제품은 제품의 특성과 종류마다 밀봉이 반드시 필요한 물품이 있고, 아닌 것도 있습니다) 우선 다음의 링크에서 설치 가이드를 살펴 보았습니다. 링크 : http://content.crucial.com/content/dam/crucial/ssd-products/ssd-family/documents/installation-guides/sata-2-5-install/crucial-ssd-install-guide-ko-KR.pdf 노트북 & 데스크탑 설치 방법이 있으며, 펌웨어 관리 및 SSD 관리 유틸리티를 다운 받아 나중에 설치 합니다. 링크 crucial.com/suport/SSD 를 우선 방문하면, 설치가이드와 함께 OS를 복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
열어 보니, 이상한 가이드 같은 것이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알아보니, 그냥 제품을 박스내에 받히기 위한 가이드 같은 것이었네요) |
|
2.5inch 실 제품 전면입니다. |
|
후면에 전원과 데이터를 연결하기위한 커넥터와 상세사양이 나와있습니다. |
이 WEBM 영상은 모바일에 최적화 되지 않았습니다.
|
그런데, 볼트는 없더군요. (그간 PC를 조립하면서 보관 중이었던 것들을 찾아 맞춰 보았습니다) |
|
이런 것은 조금 아쉽습니다. (볼트 4개 정도는 넣어놔도 좋을텐데 말이죠) 저야, 워낙 pc를 그간 많이 조립했던터라 맞는 볼트를 쉽게 찾을 수 있었지만, 처음이라면?? |
![]() |
앞서 링크에서 제품 설치가이드를 따라, SSD에 OS를 새로 설치하거나 복사했다면 관련 유틸리티를 설치합니다. |
![]() |
SSD를 관리하는 유틸리티가 있다고 합니다. |
![]() |
위와 같이 자신에 맞는 64bit or 32bit 중 하나 (대부분 64bit)를 받아 설치합니다. |
![]() |
디스크 인포로 살펴본 mx500의 상태입니다. (0시간 3회 동안 윈도우를 설치했군요) |
![]() |
Crucial.com/support/SSD 를 방문하여, 위 그림과 같은 관리용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였습니다. (유틸리도 나름 괜찮은 것 같습니다) |
![]() |
최종적으로 OS를 설치하고 성능을 디스크마크로 해보았습니다. (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은 숫치를 기록했습니다 - 주 : 모멘텀캐시 적용전 - 노멀 상태 속도) |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UEFI 전용 부팅 바이오스 설정입니다. *주 : 위 그림처럼, UEFI Boot만 체크하면 OS부팅 USB디스크는 무조건 UEFI로 설치 및 GPT로 설정됩니다. (Legacy Boot도 체크 해놓았다면, 설치 전 퀵메뉴를 눌러 OS설치시 부팅USB에서 MBR or UEFI 를 선택 해주어야 합니다) *Quick 메뉴(부팅중 버튼을 눌러 부팅 장치를 선택하는)를 사용하는 사람이면, Boot USB Devices First 또한 선택하지 않는 것이 더 좋다는 사실을 알 것입니다. (잘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은 굳이 이것을 선택해서 부팅시마다 USB장치로 부팅 딜레이 및 멈추는 현상을 보겠지만요) 참고 링크 : 윈도우 설치 또는 사용 중에 바이오스 부팅순서, USB 장치를 1순위로 해놓으면 안되는 이유는...? |
|
보시다시피, SATA3(6g)( 슬롯0과 슬롯1만 SATA3를 지원)중 0포트에 mx500 SSD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SATA2(3g)(슬롯2~4는 SATA2만 지원)중 2포트에 구형 SATA2 HDD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