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프로13을 구입했다면(조금 실망스러운 점도 있지만), 어쨋든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배터리 및
전용 충전기가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할 것입니다.
물론, 볼타와 같은 큰 삼각대형 악세사리를 주로 사용하는 사람은 "금액" 문제로 구입 순서를 달리해서 볼타로
사용하다 나중에 충전기 필요성을 선택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자신이 자주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매 순서를 선택 권장)
예 : 자전거나 자동차 기타 헬맷 / 가방끈에 붙여 사용하지 않고, 미니 삼각대가 대부분이라면 볼타가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남의 시선이 부담스럽다면 전용 충전기 배터리셋 추천)
이번에 고프로13 충전기가 달라진 점은 "완전 감싸는 구조"로 돌아온 것이고, 그간
너무 불편했던 도대체 보관할 때나 충전할 때 얼마 만큼의 배터리 잔량을 충전하는
지..남아 있는지 알 수가 없었던 것을 이제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충전기 자체가 충전하지 않고 장착하기만 해도 '남은 배터리량'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게시물 목록 :
1. 충전 도구 및 충전되는 방식
2. 구조 / 외관
3. 보관
4. 특이한 점(장점)
구매 선택을 위한 정보로 살펴 보기 바랍니다.
충전 중입니다.
가격이 11만9천원으로, 이전에 비해 상당이
비싸졌습니다.
다행인 것은, 충전 중 충전량 4개의 LED와
고프로8처럼 완전히 감싸는 구조로 돌아온 것입니다. (고프로9~12 정품
충전기의 문제가 배터리를 넣고 반쯤 잠기는 구조로 휴대시 불편했습니다)
"고프로9~12용은,
원가 절감을 이상한 데서 했습니다"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호환 제품(두껑있는 3개용 텔레신?)도 제법 선호했던 것 같습니다)
충전 케이블은 충전 규격을 만족하는 정품 혹은 그와 같은 수준의
케이블을 "반드시" 사용하여야 합니다. (USB-C 타입이라도 케이블
능력(품질)에 따라 충분한 전류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케이블이 많습니다)
전원 어댑터 27w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는군요. (저는, 고프로8 부터 고프로 충전기 전용으로 25w 삼성 TA800 & 신뢰성과 보증된 C to C 케이블을 애용했습니다)
*주의 : 고프로 본체 충전용 아님!
USB-C to C 케이블 하나와, 본체 그리고 배터리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왠만하면, 이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USB-C
USB3.0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것입니다??
*주 : C to C 케이블이지만, 데이터는 여전히 USB2.0으로 전송됨과 인식을 확인하였습니다.
참고로
USB-A to C 기존 고프로 정품 케이블도 USB2.0 데이터 전송
케이블이었습니다.
배터리는 일단 확인하기로 최대 1.5A가 입력 가능한 배터리
규격이었습니다. (예상한 대로)
고프로 8과 9 사용기에서도 언급했지만, 고프로 본체는 5v-1a or 그 이하 PC usb 충전을 적극 권장 합니다.
개봉 메뉴얼에는 최적의 충전을 위해
27W 급 어댑터 충전기를 어쩌구 저쩌구라고 쓰여 있습니다.
(삼성 TA800 25W / 애플 충전 정품 어댑터 20W 등을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그 이하 저전력 충전기(PC usb or 5v-2a / 1a)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주의할 것은 25W급 이상일 때입니다. (지금까지 고프로 전용 충전기 권장 규격은 안전을 위해 보수적으로 잡은 5v-2a 어댑터였습니다)
==
상세 충전 설명 :
13은 9~11용과 고프로8용과 다르게, 9V도 지원 / 자동으로 전환 됩니다. (아래 그림 참고)
고프로8 & 9~11용 정품 충전기는 9v를 지원하지 않고, 5v/ 5.5v-3a 이하만을 지원합니다.
결론만 말하자면, 5v-3a 이하 충전기(25W)는 뭘 쓰든 관계 없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삼성 TA800이 신뢰성과 가성비 모두 좋다고 생각합니다)
==
여담으로, 수 십 만원 이상 하는 기기에 돈 아깝다고 1만원도 안 하는 싸구려 전원 어댑터 사용하는 것이 어쩌면 꽤나 어리석은 행동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도 1백만원 이상 주면서, 전원 어댑터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도 모순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PC도 파워 서플라이가 중요하듯, 소형 기기도 전원 어댑터가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전력 안전)
바뀌어진 슬롯 (13에서 성능 변화도 거의 없는 주제에, 슬롯 바꾸고 렌즈 호환 못하게 돌기 만들고..)
==
충전 방식 : (사람들이 이것을 상당이 잘못 알고 있더군요 : 고프로 8/9 정품
충전기도 동일)
총(2슬롯) 입력 어댑터 전류가(슬롯 하나당 최대
1.5a) 부족할 경우, 1번 슬롯을 먼저 충전하고 나머지 남은 전력을 2번
슬롯을 배당하여 충전하는 구조이기에 "충전 중에는" 똑같이 충전 되지 않는
것은 정상입니다.
그리고, 충전 장기 보관은 50%~60% 사이 충전량으로 보관하는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100%
충전된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시 리튬 이온 배터리 답게 부풀 수 있습니다)
고프로13 전용 충전기는 기존 정품(8~9~10~11~12용)과 달리 9V 도 지원 옵션이 추가 되었다. (삼성 TA800 기준)
신뢰할 수 있는 정품 케이블 또는 그 능력이 확실한 케이블로 충전할
경우 위와 같이 충전 전류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 전류량은 3A 전류 전송이 가능한 전원 어댑터입니다 : 3a를
허용하는 TA800과 3a 삼성 케이블)
a. 충전량은 배터리 잔량(충전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b. 어댑터 전원(3a)이 충분해도, 신뢰할 수 없는 케이블은 총합이 1a or 1.5a만 전송될 수 있습니다.
c. 전원 어댑터는 규격에 맞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위는 9V - 2.5a(20W)를 전송 중이고 배터리당 1.5a 입력 가능한 상태이므로 1번(우선) / 2번(나중) 모두 엇비슷한 시간에 충전될 것입니다. (배터리 잔량에 따라 충전량은 다를 수 있습니다 : 입력 수치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한다는 말)
그림에서 왼쪽이 1번(우선 충전 전력 할당) / 오른쪽이 2번(남은 전력 할당) 입니다.
충전 중 : 4개의 LED 램프
처음 구입 후, 배터리는 일단
100% 채워 줍니다. (시간이 많이 걸릴 것입니다)
80%이상 구간 ~ 100%는(저속 충전 구간), 0 ~ 80%까지 충전할 때 만큼 시간이 오래 걸릴 것입니다.
==
80%이상 차면 충전 시간 대비 효율이 없으므로, 굳이 100% 충전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간이 남아 돌아도 하지 말자! 의미 없다'
그것은...
팁 :
1번 슬롯이 우선 전력 배당되어 충전이 빠르므로,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가 3개일 경우 1번 슬롯에 우선 순위(우선 사용)를 둬, 지속적으로 1번 슬롯을 기준으로 교체(대기 충전 중인 배터리)하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사용해야 한다면, 2개 모두 100% 찰 때까지 충전할 필요가 없음)
1번 사용 대기(충전) - 2번 대기 배터리 1번으로 이동 충전 - 3번 배터리 2번으로 이동 보조 충전 : LOOP
==
슬롯당 충전이 완료되면, LED 4개가
점등된 상태로 전환됩니다.
==
장점인데, 사용하던 것을 넣어보니(충전하지 않아도)
현재 배터리 잔량만큼(장착하면) LED가 일시적으로 깜빡여 현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충전기가 현재 배터리 잔량 확인 용도 사용 가능)
[GIF] 고프로(9)에 추가 ND 렌즈(필터)는 어떨 때 사용하는 것?
-
이전 CPL 가변식 렌즈에 이어, 이번에는 ND 가변식 렌즈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CPL 렌즈(필터)는 사 볼만한 물건일까?
CPL 렌즈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빛 반사를 최소화 하여, 대상의 원래 색을 표현하...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