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가 하나 추가로 들어있습니다. (배터리 값을
제외하면, 순수 충전기 가격은 3.5만원이나 하는 것이겠죠)
==
케이블에 따른 충전 전류(A)에 대해 :
1. USB-A to C 케이블은 최대 2A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간에 별도의 변환 어댑터(젠더류)를 사용하면, 1A로 제한 될 수 있다)
예 : usb-c to 마이크로5핀 (반대도 동일)
2. USB-C to C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3A 이상을 지원하지만, 케이블에 그런 문구가 없으면 더 낮을 수 있으므로 규격을 확인해야 합니다. (주 : 전류를 받을 기기가 자동 조절이 아닌 경우, 지원하는지 "정말 주의" 해야 한다)
3. 고프로 배터리는 이론적 최대 입력 규격은 1.5A이다. (실제 충전 전류는 최대 1.0A~1.3A 이다)
4. 고프로 전용 충전기가 아닌 경우, 전원 충전 어댑터가 2A 라도 최대 1.5A까지만 인식한다. (고프로 카메라 본체에 2A 이상 전원 어댑터 충전을 절대사용하지 말자)
제조일이 2019년 9월?
현재(21년 2월)기준으로 1년
반이나 묵혔다는 것인데... (왠지 방전이 되었을 것 같은 기분)
1220mAh
제가 궁금했던 부분입니다.
그런데...엉?
5V-1A
전원 어댑터 충전기로 공급하라구?
하지만, 충전기 뒷면의 사양을 살펴 보면...
충전기가 받는
입력 : 5V - 3.0A 까지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력 : 4.4V -
CH1/CH2 : 1.5A 입니다. (배터리를 2개 충전할 수 있으니, 하나당 이론적으로 1.5A를 충전할 수 있다는 뜻이겠죠)
하지만, 충전 케이블이 USB-A to USB-C 인데?
주 : USB-A to USB-C 케이블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대부분 최대 2.0A의 전류까지 전송
가능하다.
GO815는 3A(2개 합)까지 받으니, C to C 케이블 5V - 3A 전원 어댑터로 해도
되는 것이 아닌가?
설마, 앞서 무서운 메뉴얼 경고대로 5V-
1A 충전 전원 어댑터로 해야 하나?
그래서...
공식홈에 살펴보니, 적어도 본체를 통한(배터리)는 5V - 1~2A 라고
적혀있네요?
네, 1개 당 허용 입력입니다.
정품 케이블 및 듀얼 충전기에 "배터리를 하나" 넣어 5V - 1A로 충전 해보니,
정말 2시간 가까이 걸리더군요.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 :
80%까지는 빠르게 충전되지만, 80%부터 100%까지는 느리게
충전되는 규칙이 여기에도 확실히(안전) 적용됩니다. (배터리를
내장한 리튬 이온 폴리머용 기기는 동일한 패턴이다)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이 점등됩니다.
Go815는 전체 입력량에서 개당(CH - 슬롯당) 충전량(장착한 갯수)으로 나뉘어 지므로, 채널당 1A 충전 전압이 됩니다.
1번(그림에서 아래) / 2번(그림에서 위) 순서대로 충전됩니다.
1번 슬롯을 허용량의 전부를 우선 충전하며, 남은 전력이 있다면 2번 슬롯으로 할당하고 서서히 충전됩니다.
따라서, 1번 슬롯과 2번 슬롯이 동시에 완충되지 않는 것은 정상입니다.
5V - 1A 로는 느리다는 것을 요즘은 느낌입니다. (위 그림은 USB-
A to C 2A 입력 중이므로(케이블이므로) 1개당 1A만 받는 상태)
"하 세월이구나~"
도저히 안되겠다 싶더군요.
너무 느려서, 삼성 EP-TA800 5V - 3A 출력을 가진 PD충전기를
이용합니다. (세파스의 문의 결과, 전용 충전기에는 사용해도 된다고
합니다 : USB-C to USB-C 케이블)
* USB-C to USB-C 케이블로 충전기가 5V - 3A 출력할 경우, 이론적 최대 3.0A를
전송한다. (듀얼 충전기 GO815는 이론적 최대 3.0A(슬롯당 1.5A)를 허용한다)
고프로8 2개를 충전할 경우 그림과 같이 각각1.2A(합2.4A)를 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주 : 배터리 잔량 충전 구간별 A는 달라집니다.
본체 충전시 최대 1.2A(배터리 입력 능력)까지만 자동 입력 되었습니다. (하지만, 고프로 전용 충전기(2개 배터리)는 최대 각각 1.2A~1.3A 까지 입력(합 2.6A)되었습니다)
*자동 입력 받는다 해도, USB-C to C 타입 케이블과 2A 이상급 어댑터를본체에 물리지 마십시오. (본체는 최대 1.5a 이상 받지도 못할 뿐더러, 발열만 증가하고 예기치 못할 고장을 발생 시킬 수 있습니다)
제품 기본 포장 상태.
[기타/정리]
단점은 가격이 비싸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고프로는
배터리 한 개로는 어림도 없다. (보통 2개~3개를 기본적으로 사용한다고
하고, 저도 그것에 동의 합니다)
배터리(고프로 듀얼 충전기) :
*어댑터 능력 : 5V - 2A & 3A 어댑터(예 : 아이패드용 10W
어댑터 or 삼성 25W PD 충전기)를 연결 충전해도 충전기(GO815)내 배터리
갯수에 따라 허용한 입력(하위 호환)만 전류를 받습니다. (배터리는
기존 스마트폰과 같이 받을 양 만큼만 받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1. 5V- 3A 출력 어댑터(C to C) : 배터리가 2개라면 1.5A + 1.5A(1개라면
1.5A)
2. 5V-2A 출력 어댑터(A to C) : 배터리가 2개라면 1.5A + 0.5A(1개라면 1.5A)
*주 : 1.5A는 이론적 최대 수치일 뿐, 실제로는 1.0A~1.3A가 일반적입니다.
GO815는 최대 5V - 3A 입력을 허용하니, 충전 전원 어댑터 5V - 3A 용도
당연히 문제 없겠습니다. (단, USB-C 충전 케이블이 3A를 전송 지원해야 합니다 : 능력 미달 케이블 주의)
*주의 : 의외로 전자 제품(카메라에 특히 많음) 중에 3A를 지원하지 않는 기기가 제법
있는데, 이것을 잘못 지키면 충전 포트가 사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하위
호환 자동 아님.
카메라 종류가 '배터리를 우선하는 이유'가 정밀 기기이기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잡담]
기기를 망가뜨리지 않으려면, 전기는
중요한 요소인데 이것에 관해 메뉴얼에 구체적인 언급이 부실합니다. (요즘은
고속 충전기(PD 충전기)라든가 새로운 충전기들이 많아, 만약 2A를 초과하는
듣보잡 충전기 사용시 고장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기기들은 자신들이 허용하는 전력만 입력 받는다(예 : 스마트폰)고
하지만, 카메라 보조배터리 기타 짐벌등 미니기기(예 : 손풍기)등은 최대
1A or 최대 2A만 받는 것들이 많습니다. (5W 충전기도 다 쓸 곳이 있습니다)
[GIF] 고프로(9)에 추가 ND 렌즈(필터)는 어떨 때 사용하는 것?
-
이전 CPL 가변식 렌즈에 이어, 이번에는 ND 가변식 렌즈 필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CPL 렌즈(필터)는 사 볼만한 물건일까?
CPL 렌즈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빛 반사를 최소화 하여, 대상의 원래 색을 표현하...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 가급적 빠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