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ulanz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ulanzi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11월 24일 금요일

[추천 X] 고프로8을 위한 짐벌용 마운트(+스무스Q2)와 울란지 PT-4 짐벌 무게추 2/3

 이전 고프로 짐벌을 위한, 마운트와 자작 무게추 대용으로 여러가지를 조합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마음에 들지 않은 묘한 불편함이 존재했는데, 사고 싶지 않았지만 무게추를 구입해 조합해 뭔가 미련이 남는 것을 마무리 해보기로 했습니다.

링크 : [추천 X] 고프로9를 위한 짐벌 조합(스무스Q2 + 울란지 PT-4 + 스몰리그 50g)해보기 3/3

링크 : [추천 X] 고프로8을 위한 짐벌용 마운트(+스무스Q2)과 무게추 대체 해보기 1/3

비싼 것은 싫었고 저렴한 것을 찾던 중, 울란지(직구 대행) PT-4라는 제품을 구입했습니다. 
(가격은 무료 배송에 1만 5천원 이었고, 배송은 거의 10일정도 걸렸습니다)

살펴 보시죠.


그래도, 전용으로 나온 무게추가 외관이 깔끔하고 편의성이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튀지 않은 크기로 정말 작네요.


구성품입니다.


최소로 고정할 곳에 집을 수 있는 크기(폭)가 1.5cm 입니다.
(최대 2.5cm 까지 됩니다)


각각의 무게입니다.


총합의 무게추 무게가 62g 입니다.


*주의 : 제가 보유한 스무스Q2 처럼 비스듬히 모터가 존재하는 제품에는 적용할 수 없었습니다.
(즉, 이런 짐벌 구조(모터)에는 착용할 수 없습니다: 무게추 역할을 못합니다)

일부 DJI 짐벌도 비스듬히 누운 설계 제품이 있는데, 그쪽은 오스모 전용 무게추를 판매할 것입니다.

==

어쩔 수 없이, 기존 게시물 1/3 방법(고프로 마운트 부착)으로 전환하기로 합니다.


만능 "다이소"를 방문해 적절한 도구가 있는지 찾아보았습니다.


딱 맞는 크기를 찾긴 찾았습니다.

젓가락 받침대 4개 다이소 1000원에 구입했습니다.

==

크기는 맞는데, 가운데를 조여야 되는데 부러질까 불안해 보입니다.


4.7g 이군요.


폭(넓이)도 딱 맞습니다.


중간에 실리콘 테이프(다이소 : 접착 테이프 아님)을 덧대고(가운데가 파손되지 않게 완충 역할), 양면 테이프(3M)으로 나무를 고정했습니다.

크기가 딱 맞죠?

심지어, 넓이도 맞더군요.


장착된 균형을 갖춘 그림


무게추까지 완벽하게 고정되었습니다.


무게 축소의 목적을 달성했습니다.

*요점 : 고프로를 장착한 상태에 짐벌 중량(페이로드 한계값)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각 제조사 짐벌 무게 최대치가 존재합니다)


스무스Q2의 최대 중량(페이로드)은 260g입니다.
(짐벌 무게 X)


이리 저리 움직여 테스트 해보니, 작동과 떨림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떨림은 대부분 No Power 상태에서 균형이 맞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현재 목적을 달성하기 이전 조합이 그나마 안정적인 결과였지만, 한계값을 넘겨버렸습니다.
(모터 떨림이 없고 장착 위치를 잡는 것이 쉬웠습니다)

오토케 스마트폰 홀더 72g

링크 : 고프로8 & 9 를 위한 짐벌용 마운트(+스무스Q2)과 무게추 대체 해보기 1/3







[잡담]






고프로8에 부착한 이유라면, 그나마 가볍기 때문이며 촬영 중 미리 보기가 가능한 모델입니다.
(고프로12에 촬영 중 미리 보기 기능이 다시 돌아왔다고 합니다)

고프로8 to 고프로9(10/11/12) 짐벌 마운트를 산 것이 고생의 시작이었습니다.
(어댑터 판매처는 고프로용 마운트에 무게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죠)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 2월 2일 목요일

고프로8 정품 실리콘 케이스가 6천원이라고 해서 사봤다. 2/2

  이미 고프로 9 / 10 /11 이 나왔고, 고프로8 이하는 이제 주력이 아니며 더 이상 판매가 많지 않아 재고 처리를 위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색상이 꽤 많았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제는 "핑크 / 블루 / 화이트" 만 살 수 있었습니다)

6천 원이라는 가격도 택배비를 포함하며 사실상 3천~3천 5백 원이 실구매가라, 필요성이고 뭐고 사든 말든 관계없는 가격이 되어버렸습니다.

아시다시피, 가격이 수 만원 이상일 때는 고프로 실리콘 케이스 투자 대비 구매 잇점이 적었습니다.
(사용성에 방해만 되고 단순히 본체 보호라는 측면과 시각적 만족감에 수 만원 이상의 가격을 주고 사기에는 합리적이지 않았던 것이죠)

링크 : 고프로 케이스(실리콘)가 정말 필요한가? (+충전 도어 커버) 1/2

링크 : [맥스렌즈+] 고프로9~11 호환 실리콘 케이스 A679 살펴보기.

살펴보시죠.


현실적인 사진


이제는 철지난 구형 고프로8이라 재고 '땡'처리 중인 것 같습니다.
(여전히 9 / 10 / 11 정품은 지금도 주력이라 비쌉니다)


정품이 확실합니다.


벗겼다 꼈다 할 때 실리콘 재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싼 재질은 찢어지거나 엄청난 먼지가 묻기 때문입니다)


화이트 색상


역시, 마감은 훌륭합니다.


고프로8 샌드 색상


최초 정품에 비해, 내용물이 설명서 외에는 없더군요.
(최초 정품 : 몇 개의 스티커 동봉)


기존 화이트나 일렉트릭 핑크에 비해 없어(존재감)? 보입니다.


중간에 뚫어(me)놓은 충전 포트.

====

정품(일렉트릭 핑크)과 울란지 호환제품 비교


정품에 비해 울란지 짝퉁의 재단과 실리콘 재질은 비교할 수 없는 재앙 입니다.

이 호환 제품의 결정적 문제는 "실리콘 재질"이 상당이 좋지 않은 것을 썼다는 것이죠.
(찐뜩함이 있어서 먼지가 달라붙기 쉬운 재질입니다)

보시다시피 재단은 재앙 그 자체입니다.


마치 만들다가 만 것 같은 느낌이군요.


보통 정품이 너무 비싸서 보통 짝퉁을 많이 구입했을 것입니다.
(스마트폰 케이스처럼 생각해 그래도 큰 문제 없을 것이라 생각했겠지만...)

"아 이건 좀..."


스마트폰 케이스와 달라도 너무 다른 품질이었습니다.


일렉트릭 핑크 색상
(정품)





[기타]





실리콘 케이스의 단점 :

1. 배터리 교체 or 충전시 실리콘 케이스를 매번 벗겨야 한다.
(하단 그림 참고 : 구멍 뚫기)

2. 기기 냉각(발열제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실리콘 케이스의 장점 : 

1. 겉 모양 색상을 바꾸어 사소한 변화로 기분 전환을 할 수 있다. 
(인간은 기분 전환이 중요하긴 하다)

2. 1시간 내 짧은 영상을 찍을 때, 목걸이 혹은 손목에 끈을 거치하여 돌발성 Drop을 방지한다.
(가방처럼 또 다른 상황에 휴대 추가 잇점이라는 여유가 생긴다)


일상에서 휴대와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 충전 구멍을 뚫어 놓았다.
(배터리 교체는 어쩔 수 없지만, 최소 충전 구멍을 만들어 짧은 사용일 때는 이것이 편하다)

실리콘 착용으로, 매번 충전 때마다 실리콘 케이스 벗기는 것이 너무 불편했습니다.


ETC : 

본체 흠집을 보호한다? 보호할까? 아니..보호가 필요해?


고프로8 정품 실리콘 + 짝퉁 호환 쇼티 + 3천원짤 볼트 + 고프로 미니 가방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년 2월 16일 수요일

[GIF] 액션캠(고프로) 액티브 바디 탈부착용 어댑터(젠더) 울란지 GP-16

 고프로(액션캠)를 사용하다 보면, 그 작은 화면으로 뭔가를 보면서 한 손으로 들고 찍는 것이 "짐벌"과 달리 불편하게(어디 부착하는 것이 아닐 때) 느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애당초 짐벌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큰 화면을 보고 찍는 다는 개념으로 만들어졌기에 한 손으로 들고 찍는 것이 당연하므로 목적에는 적합할 것입니다.

두 가지 모두 한 손으로 들고 사용할 수 있지만, 액션캠(고프로)은 추가로 body(헬맷 / 자전거 등)에 부착하여 양 손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짐벌"과 차별되는 장점일 것입니다.

그 양 손이 자유로워지는 조건의 시작은, 탈부착 어댑터와 젠더류 구입이 될 것입니다.
(뚜벅이의 예 : 가방끈을 이용하는 집게형 or 밸크로형)

그러나, 고프로 전용 or 호환용으로 나온 "집게형 / 밸크로형"등은 가방끈이나 고정할 수 있는 옷가지에 의존해야 하므로 가방끈이 없거나 얇은 옷일 경우 전혀 쓸모가 없게 됩니다.

링크 : 고프로 집게 GO847 자석 회전클립 /Magnetic Swivel Clip (+ 1/4범용홀 어댑터)살펴보기

다음은 GP-16이라는 "자석형" 탈/부착 어댑터(젠더)로,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 같아 보여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구입 전 /후 혹시나 헛돈 쓰는 것이 아닌지 걱정은 들더군요 : 우려가 현실로?)

*게시물 하단 후기 참고*

이전에 버클형 듀얼 젠더(탈부착 가능)를 소개했지만, 역시 탈부착이 버클형이라 탈부착이 말처럼 쉽지 않은 구조였습니다.

링크 : TELESIN(텔레신) 고프로 듀얼 마운트 "이걸 1만원 이상 주고 살 가치가 있을까?"

살펴 보시죠.


먼지 나라에서 바다 건너 10여일 만에 도착한 울란지 GP-16 

제품 쇼핑몰에서는 고프로 9 /10 용 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고프로와 같은 호환 나사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은 다 될 것 같습니다.
(저는 고프로 8 사용)


박스를 열어보니 끈하고 부품 3개가 나란히 붙어있더군요.

설명서고 뭐고 아무 것도 없어요.
(포장 비닐에 쌓인 본체와 목걸이 끈 외에는...)


이 그림을 보고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바로 다음 그림에서 사용법을 눈치챌 수 있습니다.

"왜 3개나 있을까?"


카메라에 기본적으로 하나를 부착해서, 필요에 따라 옷(Body) or 삼각대에 Quick 탈착이 되는 것이죠.
(자석형이기에 버클형보다 그나마 쉽게 효율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먼지 나라 회사의 창의성이 점점 ..."아니, 그 창의성을 추진할 수 있는 자본력이..." 부러워 집니다.


손잡이를 장착한 상태로도 부착 할 수 있도록, 3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졌습니다.
(3개인 이유입니다)

그런데, 저는 이렇게 까지 하고 싶진 않네요.
(사소하게 무게가 증가하는 것이 좋지도 않고, 시선이 좀 신경 쓰여...)

시선에 면역되는 "안하무인 여행지"라면, "짐벌"이 나을 것입니다.


재질은 다소 강한 플라스틱입니다.
(혹시나 잘못 사용시 부러질 수 도(탄성)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제품간 탈부착시 옆으로 비스듬히 밀어서 떼고, 붙일 때는 2 부분씩 부착하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뺄 때 힘도 들지만, 자칫 자석이 빠질 수 있다 : 실제로 자석만 쏙 빠져 5초 본드로 붙여야 했다)


삼각대를 들고 다니다, 이렇게 바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예 입니다.
(고프로 나사를 조이는 과정이 필요 없게 됩니다)


부착한 상태로도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저는 저 작은 화면을 보지 않습니다만, 사람에 따라...)


3번째 어댑터를 목에 걸거나, 안쪽으로 집어넣고 바로 카메라를 붙혀도 되는군요.

나름 두꺼운 잠옷인데 안 떨어지네요?
(물론, 4군데 접점 자석이므로 잘 붙이면 수평 유지 가능합니다)

*수평 유지 :

고프로9 이상부터는 "리니어 수평"기능이 추가되었지만, 8이하까지는 수평이 1도만 틀어져도 수평이 맞지 않아 소프트웨어로 재정의하는 불편함이 존재합니다.

*주 : 하이퍼스무스는 손떨방 기능이 있지만, 짐벌처럼 수평 유지 기능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고프로9 부터 수평기능을 리니어 화각에 추가하였던 것입니다)

*주 : 고프로의 하이퍼스무스는 켤수록(높아질 수록) 손떨방이 강해지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저조도 프레임 저하 / 가장자리 화면 짤림으로 발생하는 화질 저하)

하지만, 짐벌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는다면 하이퍼스무스는 최소 켬은 유지해야 할 것입니다.
(게시물 하단에 다시 이 문제를 언급합니다)


위 그림의 예로, 얇은 겉옷도 "가방끈이나 집게 따위"의 도움 없이 부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굳이 속옷 차림에 부착 사진을 왜 사진으로 올렸을까요? 그 이유는 아래 설명들로 이해가 될 것입니다)



그림으로 다음을 살펴 보시죠.


실 사용시 고정 문제 : 

몸에 장착 한 후, 사용해보니 "예상치 못했던" 옷의 고정 상태에 따라 흔들림 발생이 다를 수 있었습니다.
(즉, 삼각대나 집게형으로 가방끈에 고정 시킨 것보다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죠)

가방끈이라는 곳은 아무래도 기기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데 비해, 이것은 옷과 목걸이에 의지하므로  기기의 설정과 "뚜벅 걸음 습관에 따라" 흔들림이 더 클 수 도 있습니다.
(여하튼, 유튜브 영상에서 오바 하는 인간들을 조심해야 합니다)


목걸이용 젠더 부품 :

끈을 목에 걸고 목과 카메라 부착 위치를 적당히 정한 다음 끈을 조이면 되는데, 끈 조임 단추를 목 뒤에서 조이기(줄이기) 바랍니다.
(목적은 카메라가 옷과 자석/끈길이로 위치에 고정되는 것입니다)


*수평(고정) 설정(팁) : 

백판과 수평 고정 유지 방법은, 의복 설정법에 있습니다.
백판(목걸이) + 기본 젠더(카메라)를 수평 조절을 해서 자석으로 붙일 때, 그 사이 속옷이 고정 역할을 합니다.


하이퍼스무스 OFF.
(제품의 순수 고정력을 알아 보기 위해 손떨방 OFF 실험 : 몇 차례나 반복해서 옷과 손떨방 상태별로 실험)

1. 두꺼운 복장에 집게를 쓸 수 있는 환경이라면, 기존 고프로 정품 집게가 훨씬 효율적이며 흔들림이 없다.
(굳이 이 제품을 사용할 이유가 없어진다)

2. 그렇다면, 이것은 집게를 사용할 수 없는 "얇은 옷"이나 가방을 맬 수 없는 환경이나 의복에 효과적 제품일 것이다.
(아마 대부분 그런 생각을 했을 것이다 : 그렇게 제품 광고를 하더라)

3. 하지만, 생각했던 것과 달리 부착해 보니"흔들림이 요동치듯" 고정되지 않는다.
("아니, 난 고정시키지 못하는 환경(옷 / 멜빵 없음)에 쓸 수 있다고 해서 샀는데?")

그렇다면 방법은?


하이퍼스무스 켬(0) (높음X 부스트 X)
(고정 문제 해결 후)

1. 뚜벅이 촬영시 고정 부착된 카메라 흔들림에 주의하며, 가급적 똑바로 걸어보자.
(옷에 끈을 목 조르듯 고정하고 신경 써서 부착하고, 자칫 방심 하면 좌우 흔들림이 나타날 수 있다)

내가 고프로 집게 부착 사용시 이렇게까지 신경 썻었던가?

2. 몇 차례 실험 후, 몸에 딱 붙어 움직이지 않는 속옷을 이용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3번째 목걸이용 부품을 "속옷과 겉옷을 2중으로 겹쳐" 카메라를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속옷이 1차 고정 역할을 한다)

3. 고프로 하이퍼스무스 설정 : 최소 (뚜벅이 환경)을 유지한다.
(높음은 화각과 촬영 환경에 따라 필요하지만, 일상 걸음에서는 켬으로 충분하다)

4. 위 그림과 같은 결과물로 나타났다.
(하단 유튜브 동영상을 첨부합니다)




[기타]




*링크 : 고프로8 - 화각에 따른 하이퍼스무스(손떨방) 강도(세기) 설정하기


*부착 후, 무신경하게 촬영하고 싶었지만 그 정도까지 흔들림을 잡는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짐벌 생각이 더 간절해지고 있지만, 수평 조절 기능이 추가된 고프로 9~10이라면 고프로용 짐벌은 낭비일 수 있습니다)

*자석의 힘은 매우 강력했습니다.
(어지간해서는 떨어질 수 없는 4점 방식으로, 제품 플라스틱이 휠 정도의 자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 1 :
 어댑터 탈부착시 "자석"만 본체(플라스틱)에서 빠지는 제품 결함이 있었다. 

단점 2 : 너무나 강력한 자석이 고프로 본체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자석을 본체에 너무 가까이 밀착하지 않도록 합시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그림처럼, 가방에 넣고 다닌다면 렌즈 보호를 위해 이런 식으로 사용도 가능합니다.
(렌즈 흠집을 걱정해 이전에 구입해 둔 고프로 케이스인데, 일상에서 효과적이더군요)

카메라 케이스를 씌워두니, 가방 안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녀도 보호가 잘 됩니다.
(파우치 보다 훨씬 유용합니다)

액션캠은 돌출된 악세사리가 없고 작은 것이 최고입니다.
(본체에 이것 저것 붙이지 마세요)

2021년 10월 26일 화요일

고프로 정품(or 호환)볼트 호환(규격) 육각 볼트 스크류 & 손잡이 볼트.

 평소 고프로 정품 또는 호환 금속 볼트 스크류가 편리하긴 하지만, 상당히 튀어나온 구조이기에 "좌우 균형을 시각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튀어 나온 것이 특정한 곳 부착시"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볼트 판매점에서 구입한(인터넷) 고프로 규격과 일치하는 육각 볼트 스크류입니다.

살펴 보시죠.


공구 볼트 상점(인터넷)에서 구입한 고프로용 "규격"과 일치하는 볼트 착용 그림입니다.
(별다른 너트 없이 정확히 일치합니다)

육각 볼트형으로 구입한 이유는, 휴대시 드라이버 보다 육각 렌치가 유리하다 판단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왕이면 손나사 형식의 볼트를 구입하고 싶었지만, 인터넷에서는 찾아보기가 좀 힘들더군요.
(물론, 시간이 충분하다면 직접 OFF라인 전문 볼트공구부품점에서 구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가격은 비싸지 않습니다.

택배비가 대부분이죠.

개당 60원, 개당 140원 입니다.
(여분으로 3개씩 구입했습니다)

M5 가 고프로(볼트 결착 나나산)에 맞는 크기입니다.
(M5 = 너트 5mm / 볼트 4mm)


18mm 는 정확하게 고프로에 딱 맞춘듯한 길이입니다.

만약, 중간에 와셔를 넣을 생각이 있다면 20mm를 구입하면 됩니다.

어차피 택배비가 더 크기에 저는 18 + 20 각각 3개씩 구입했습니다.

육각 렌치는 4mm(머리 크기는 M5규격) 를 사용하면 됩니다.
(집에 뒤져보니 3개나 있더군요)


렌치용 구멍이 4mm 입니다.

볼트 머리에 뭔가 글씨가 적혀 있는데, A2-70 이라고 보입니다.


즉, 볼트 높이가 4mm+ 라는 말이죠.
(나사산 0.8입니다)


18mm 길이로 착용한 것입니다.

자로 잰듯 정확한 길이입니다.
(꽉 물립니다)


20mm 입니다.

와셔 하나 정도 들어가고, 와셔가 없을 경우 위 그림과 같이 너트(고프로용)가 정확히 체결됩니다.

저는 와셔를 이용한 경우도 생각해서 20mm도 3개 샀습니다.


호환성 100% 입니다.

직접 철사를 짤라 만든 와셔를 중간에 끼웠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철사로 와셔를 간단히 만드는 법을 알 수 있습니다)

링크 : 고프로 마운트(젠더) 결착 볼트, 좌우 흔들림(유격) 없애기


손잡이형 볼트 입니다.
(볼트 머리가 지름 10mm 인데, 12~14mm가 더 나을 것 같습니다 : 크면 손가락에 잘 잡히니까요)

*주 : 미디어 모듈을 사용한다면, 14mm가 한계치입니다.


M5 규격(나사 부위)을 사면, 위 그림과 같이 고프로에 딱 맞는 볼트/너트가 맞을 것입니다.
(길이는 20mm 입니다)


a.손잡이형 10mm 볼트

미디어 모듈에 장착시 정품/짝퉁 디자인이 아닌 삼각대는 일반 스크류가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품 스큐류가 아닐 때, 미디어 모듈 사용시 손잡이형이 필요할 때가 있더군요.


b. 16mm 머리 
(기본 상태에서는 이게 더 좋지만, 미디어 모듈은 장착 안됩니다)


10mm / 16mm
(14mm 가 있었으면 좋았을 것인데, 아무리 뒤져도 안 나옵니다)


c. 육각렌치형 볼트

튀어나온 정품 볼트 스크류로 인해 시각적(미적)으로 마음에 들지 않으면, 구입 해 볼 만 합니다.


정품 쇼티용 알루미늄 나사가 필요하다면 "쿠팡"을 잘 뒤지다 보면 찾을 수 있습니다.
(규격 : M5 18mm / 재질 : 알루미늄)

미디어 모듈 장착시, 호환 삼각대 때문에 "환장"한 경험이 있다면 필요한 고프로 나사.
(결착할 때, 100원 동전으로 일자를 조임)





[잡담]





광고가 아니므로, 이 게시물을 참고로 구입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
(게시물에 나온 볼트 중에 제일 비싼 것이라고 해봐야, 마지막 '호환 쇼티 볼트'이며 개당 2천원도 하지 않습니다)

이 블로그는 개인적 경험에 의한 정보 제공 용이지 광고 용도가 아닙니다.

네이버 광고 바이럴들이 나사 하나를 비싸게 팔고 있는데, 속지 말기 바랍니다.


이 영상은 유튜브에서 1080p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tsbemild Blog

전체 게시물 목록

이 블로그에서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