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7일 목요일

[GIF][구입 신중] 고프로(13) 전용 - 애너모픽(anamorphic) 렌즈(시네마틱) 살펴보기

 고프로(x) 호환 anamorphic 렌즈를 보류한 이유에 대한 게시물을 작성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호환 렌즈에 대한 의구심과, 추가로 비슷한 ND 호환 렌즈 살펴보기를 해보니 역시 "s/w, h/w 미지원"의 영향이 꽤나 크더군요.

링크 : 고프로 (호환렌즈) 애너모픽(anamorphic) 렌즈를 보류한 이유

링크 : [GIF] 고프로(9)에 추가 ND 렌즈(필터)는 어떨 때 사용하는 것?

그래서, 고프로13 전용으로 나온 anamorphic렌즈를 구입을 해서 그 효용성을 알아보려 합니다.
(ND도 그렇겠지만 s/w, h/w에 대한 지원이 된다는 것 만큼 이득이 큰 것이 없을 것입니다)

*주의 : 인식하기 위해, 고프로13 펌웨어 업데이트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목록 : 

1. 제품 외관 및 설치

2. 기본 프리셋(프로튠)

3. 해상도 및 화각 왜곡
(HDR - 표준 모드 사용 가능?)

4. 하이퍼스무스 여부

5. 평가(품질)와 구매 조언

살펴 보시죠. 


장착 그림입니다.
(미디어 모듈 호환 : 이전 매크로 렌즈와 같습니다)


좀 더 기다리면 싸지겠지만, 일단 시간을 돈으로 샀습니다.

"5개월 할부다"


한결 같은 모습입니다.


구성품은 매크로 렌즈와 똑 같습니다.

시네마 렌즈 + 렌즈 딱이 천 하나.


이왕 꺼낸 김에 무게를 재어 보았습니다.

최대 200g은 넘지 않으므로, 혹시 자신이 가진 짐벌 페이로드(거치 중량)를 계산해 보십시오.

*참고 : isteady pro 4 는 당연히 안되고, falcon plus도 미디어 모듈 혼용은 안됩니다.
(주의 : 추측이지만, 렌즈로 무게 중심이 달라져 falcon plus 도 기본 상태에 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링크 : [GIF] 고프로13 전용 접사 '매크로 렌즈' 살펴보기


렌즈와 본체 사이 공간(호환 케이지)은 충분하며, 매크로 렌즈와 거의 비슷한 크기입니다.
(무게 중심이 상당히 쏠리므로, 중소형 카메라용 짐벌이 아니면 고프로 라이트 짐벌들은 어려울 것)

*호환 케이지 : 고프로용 접이식 + 1/4 혼용 가능 금속 케이스(예 : 스몰리그 / 텔레신)를 말합니다.

미디어 모듈은 단지 "렌즈 장착으로 인한" 본체 보호일 뿐, 특별한 의미는 없습니다.

외장 렌즈 모듈 끼우면 가방에 맨몸으로 넣었다가는 "유리(전/후면)" 부분이 XX 될 것 같아서요.
(아니면, 카메라 구역별 분리가 되는 카메라 전문 가방을 구해야 합니다)

이전 매크로 렌즈 구입시 언급했던, 아래 5천원 짤 소형(S) 케이스를 추천합니다.


고프로 5천원 (S) 케이스(인터넷에 흔함)

링크 : 고프로(Gopro) 보관(휴대)용 미니(S) / 중간(M) / 다이소(범용) 케이스 살펴보기


정품 배터리 + 정품 사이드커버 (스몰리그 케이지)포함 무게 266g 입니다.


보호용으로 미디어 모듈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위와 같은 케이지 종류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스몰리그는 추천하지 않는데, 고프로 접이식 마운트가 유격이 큽니다)

카메라 짐벌용 1/4 홀을 이용하기 위한 용도? 라기 보다, 평소 '본체 휴대 보호용'으로 사용 되는 역할입니다.
(미디어 모듈보다, 배터리 탈착이 쉽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거 말고 텔레신(접을 수는 없지만, 분리가 됨) 살 걸.."

"뭐 살 때는 신중하게 여러 제조사 것을 찾아서 비교해 봐야 한다니까"


"펌웨어 v2.02"로 업데이트해야, 애너모픽 모드가 활성화 됩니다.

"자동 인식 및 프로튠이 활성화 되지 않아 당황스러웠어"


하나의 동영상 프로튠이 제공되며,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물론, 추가로 만들 수 있습니다)

공장 기본값 제공 프리셋 : 타임워프1개 / 동영상 1개 / 사진 2개

21:9 기본 활성화(디스퀴징 하지 않아도 됨), 4가지 화각 모드 제공

1.33x 입니다.

*주 : 렌즈 교체 없이, 표준 모드 프로튠(프리셋)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렌즈 교체 없이 표준 모드를 사용한다면, 디스퀴징이 필요할 것입니다.


화각은 및 프레임 지원은 그림과 같습니다.

표준 모드(8bit)와 LOG 모드(10bit) 2가지를 지원합니다.

HDR 영상은 없습니다.    

*주 : HDR 영상을 캡쳐 해야 한다면, 표준 모드에서 렌즈를 바꾸지 않고 가능하지만 16:9가 될 것입니다.

렌즈 교체 없이 표준 모드를 사용한다면, 디스퀴징이 필요할 것입니다.

Linear 화각에서만, 120F 를 지원합니다.

*주 : 애너모픽 렌즈 모드에서 "동영상" 디지털 줌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사진 프로튠(프리셋)은 2개를 지원합니다.

HDR 사진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주의 : HDR 사진을 찍으려면, 표준 모드를 선택(렌즈 교체 없이)하고 줌 1.2x를 해야 비네팅을 없앨 수 있습니다.
(8:7은 모서리 비네팅이 생기는데, 시네마 렌즈는 더 생김)

렌즈 교체 없이 표준 모드를 사용한다면, 디스퀴징이 필요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렌즈 때문이 아니더라도, 고프로13에서 디지털 줌 1.1x~1.2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줌이 무조건 화질이 나쁜 것이라고 관념적으로 생각하면, 못쓰는 기능일 뿐입니다.

고프로8 / 9에 비해, 8:7 화각이 넓어(셀프 촬영) 디지털줌이 도움이 됩니다.


선명도는 기본값 낮음 / 노이즈 리덕션은 높음 / 색상은 내추럴이 기본 값.

"일단 기본 값 한 번 믿어보죠"
(표준 렌즈처럼 , 낮음 / 낮음 or 중간을 추천 하는데, 4K 기준입니다)

ISO는 자신이 사용하던 값으로 설정하십시오.
(이런 것은, 공장 기본값 따위 의식할 필요 없습니다)

애너모픽 야간 사진 프로튠에서 기본값 화이트발란스가 5500K 이군요.

"뭐지?"

편집 프로그램에 익숙하다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화바는 "자동"을 추천합니다.
(물론, 촬영 단계에서 확신하는 것(H/W)이 결과물은 제일 좋습니다 : 특히 색은 말이죠)

색 좀 만진다는 사람들이 "네이티브~5000k"까지 사용하기도 하는데, 솔직히 그냥 그렇습니다.
(고프로8처럼 대안이 없고 화이트발란스가 뛰어난 경우는 나쁘지 않지만, 고프로9 이후부터는...)



매크로 렌즈에서 지원하지 않던, 타임 워프를 지원합니다.

"오!"

대신, 타임 랩스가 없습니다.


즉, 타임워프 촬영 중 "실제 속도와 음성"을 지원한다는 뜻이죠.

촬영 확인 함.


고프로 팁 : 

타임 워프와 타임 랩스는 비슷하지만 다른데, 타임 워프는 이동간 사용이고 타임 랩스는 고정사용이 일반적인 용도입니다.

따라서, 타임 워프라고 한다면 "자신을 찍거나 특정 대상에 집중"할 때가 많기에 화각을 "리니어"를 추천하고 색감도 "플랫(단조로운)"을 권장합니다.
(자신이라면 음영(대비)이 적은 것이 보기에 좋을 것이니까요)

타임 랩스라고 한다면, 고정시키고 일정한 대상을 촬영할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화각을 W 이상으로, 색감을 '내추럴 or 선명하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애너모픽이라면(타임워프 / 동영상), L / UL (5.3K)를 추천합니다.


하이퍼스무스 켬을 지원합니다.

"L+ 수평 잠금이 없습니다"

수평이 고민이라면, 짐벌을 생각해야 하는데 하이퍼스무스 OFF 조합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하~, 하이퍼스무스OFF + 짐벌 조합은 품질도 시원찮고 불편함만 늘어날 뿐이야"

링크 : [고프로에 짐벌을 왜 사용함?][GIF] 고프로(9)에 짐벌 필요성(isteady pro 4)


울트라 와이드 21:9 방구석 GIF 샘플입니다.

촬영 후, 별도의 디스퀴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촬영하고 pc에 복사하면 자동으로 21:9 (1.33x)영상으로 보입니다)

9/10 짭(호환) 렌즈는 그것이 문제였죠.

과거 유튜브 영상들을 보면, 호환 시네마 렌즈로 "온갖 조합과 설정의 똥꼬쇼"를 펼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덕분에 많은 것을 알게 되었지만요)


울트라 패밀리 2개는 왜곡이 있고, 리니어 패밀리 2개는 왜곡이 없거나 덜 합니다.

*왜곡 : 어안 렌즈 효과 + 가장자리 늘어남.

일단, 저는 UL 화각이 마음에 듭니다.
(하지만..............)

실험 해보니, 리니어 화각(추천)이 제일 비네팅이 없습니다.



무지개 색 "렌즈 플레어" - UL 화각

21:9 영상을 처음 보면, "와~" 하다가, 곧 이어 "어!"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모양으로 나타나면 "UL" 이며, ( 모양으로 나타나면 "UW" 입니다.
(햇볕 정면 기준)

*참고 : 가장자리 늘어남은, 애너모픽 렌즈 특성(한계점?)의 부산물입니다.
(S/W로 어느 정도 보정 되겠지만, 고칠 수는 없을 것입니다 : 추측)

*결국, 정통적인 "시네마 영상"이라면 "리니어" 화각 밖에 없을 것입니다*


시네마틱이 미쳤다면, 19만 9천원 지불할 만 하긴 하다.

"추천도 아니지만, 비추도 아니다"

"짭(호환) 렌즈에 비할 바는 아니지!"

하지만, 수평 유지 화각이 없어서 "그것이 중요한 사람이라면, 짐벌" 써야 할 걸?
(보통 사람들은 "짐벌"이라는 말에 신경 쓰지 마십시오)




[평가]




21:9 사이즈로 표시되는 화면 좌우의 넓이를 "처음 접하면" 상당히 판타지 합니다.

그리고, S/W, H/W를 모두 고프로가 지원해, 추가적으로 건드릴 것 없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기본 공장값 선명도 낮음은 알겠는데, 노이즈 리덕션이 높음 값인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더 뭉개지거든요)

추측하자면, 영화 특유의 흐림 효과를 위한 설정(노이즈)으로 보입니다.
(낮음/높음으로 촬영해보니 나쁘지 않았습니다)

==

비네팅(왜곡)이 울트라 화각(광각/리니어 포함)은 무조건 가장자리 늘어남이 있습니다.

티가 덜 나려면, 수평 유지(짐벌)가 필수(상쇄)이겠더군요.

그에 비해, 리니어 화각이 제일 낫긴 합니다만 울트라에 비해 화각 자체가 좁아집니다.
(그래도 일반 16:9하고 비교할 수준의 화각은 아니구요)

==

*프리미어 프로에서 시퀸스를 잡을 때 "3920x1680"으로 잡으면 됩니다 : 4K 기준*

기존 4K 3840x2160 시퀸스 해상도에 추가 1.33x 확대 비율 옵션을 넣어도 되지만, "이 렌즈는" 그러지 않아도 됩니다.

시퀸스를 처음 만들 때, 고프로 촬영 원본의 해상도(21:9)를 그대로 입력 "3920x1680" 하십시오.

"어떻게 찍어도(4K / 5.3K), 애너모픽 렌즈는 21:9 비율 이니까"



21:9 화각 비네팅(늘어남 & 어안) 종합 평가:

리니어 화각을 제외한, 모든 화각(3개)에 늘어짐(1)과 어안 효과(2)가 나타난다.

*늘어남 : 어안 렌즈 효과와 별개로 뭉개짐(찢어짐)현상이 심한 것을 말합니다.
(주 : 어안 렌즈 효과라고 해도 무조건 뭉개지지는 않는다)

*어안 : 흔히 접하는 광각의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휘는 정도'입니다.
(어안 렌즈 효과가 클수록 화각이 넓다)


UW

1. W 광각은 정면만 유지한다면, 그런대로 괜찮다(△)
(좌/우가 좀 더 넓은 "일반적인 광각과 똑같은데" 이 화각은 어안 효과가 있다)

2. 4가지 중 화각이 제일 좁지만, 비네팅과 늘어남이 없는 L 화각이 시네마틱에 부응한다(○)
(일반 리니어 화각에 "좌우가 늘어난 화각"이며, 잘라낼(편집이) 필요가 없다)


UL / L

3. 처음에 꽤 마음에 들었던 UL은, 가장 자리 늘어남(1)이 크며 뭉개짐(2)을 심하다(▼)
(짐벌이 필요(3)하고 5.3K로 촬영하고 잘라내어(가장 자리 늘어남 부분) 활용 할 수 있지만, 결국 "리니어" 화각과 같아진다)

UL로 촬영하고 편집으로 뭉개짐(늘어남)을 자르면 L과 같아지는 결과물에, 헛수고임을 느낄 것! 

(그냥, 5.3K로 멀리서 리니어로 촬영하자)

그래도 L는 좀..이라고 생각된다면, 5.3K UL로 촬영하고 5%(추천)~10% 잘라내자.
(단, 5.3K로 촬영하고 4K 시퀸스 비율로 작업해야 한다)



UW 화각이 넓은 화각의 신기함을 보여주기도 했다.
(처음에는 "이것도 뭐 괜찮네" 라고 하겠지만, 곧 흥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

4. 환타지한 느낌(1)이 좋은, UW는 어안 레즈 극대화(2) + 늘어짐/뭉개짐 효과(3)가 크고, 최대한의 화각(재미 삼아 사용?)을 보여준다(↓↓)
(짐벌은 당연(4)하고, 이 화각은 호불호가 매우 심할 것이다)




[잡담]




짐벌로 고프로의 하이퍼스무스를(끄면 더 나쁠 수도?) 끄고 촬영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이퍼스무스 OFF + 짐벌 조합 너무 기대하지 마십시오"
(가장 자리 뭉개짐을 오히려 더 잘라야 되겠는데요?)

4개의 기본 화각에 L+ 화각은 없다고 누군가(나?)는 짐벌을 고민할 수 있습니다.
(하이퍼스무스 ON/OFF 문제가 아니라, 수평 유지는 시네마 영상의 기본 중에 기본이니까요)

"UL / UW 가장자리 늘어남은 너무 거슬리네"


결함


*눈에 보이는 단점으로, 결함으로 느꼈던 부분이 있습니다.

아래 유튜브에서도 기록했지만, 영상 가운데 "렌즈 울렁임(젤리)"이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UW 과 UL 화각에 집중적으로 랜덤하게 때때로 나타납니다)

초점 거리 문제로 생기는 현상이고, 좌/우의 늘어남도 같은 이유에서 이겠지요.

이 부분은 어떻게 하든(S/W, H/W), 고치지 않으면 심각한 결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왠지, 고프로 14에 개선 버전 나올 것 같은 "불안감이 느껴" 집니다.
(고프로9 초광각 외장 모듈 구입 후, 기능이 좋아진 신 버전 나와서 열 받았던 기억)


고프로 플랫폼 짐벌 가용성에 대해 : 

짐벌은 고프로라는 플랫폼에 계륵 같은 존재다.

있으면 고프로라는 물건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을 대부분 체험했을 것입니다.

반대로, 없으면 아쉽고 그 아쉬움은 아마도 수평 유지가 되는 다양한 액션 상황에서 일 것이겠지요.
(뒤집거나 땅바닥에 가깝거나 ..기타 등등)

평범한 vlog에 고프로 플랫폼 + 짐벌은 쓸데없는 짓이지만, 시네마 영상에 수평 유지는 필연 일 것입니다.

링크 : [추천 X] 고프로9를 위한 짐벌 조합(스무스Q2 + 울란지 PT-4 + 스몰리그 50g)해보기 3/3

링크 : [고프로에 짐벌을 왜 사용함?][GIF] 고프로(9)에 짐벌 필요성(isteady pro 4)

링크 : [구입 주의] '액션캠용' 고프로 짐벌 inkee falcon plus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블로그 전용 / 유튜브 링크 일부 공개 영상입니다.

이 블로그에서 찾기

Letsbemild Blog

전체 게시물 목록

  • [GIF][구입 신중] 고프로(13) 전용 - 애너모픽(anamorphic) 렌즈(시네마틱) 살펴보기
  • [고프로에 짐벌을 왜 사용함?][GIF] 고프로(9) 짐벌 필요성? (isteady pro 4)
  • [추천 X] [GIF] 고프로9를 위한 짐벌 조합(스무스Q2 + 울란지 PT-4 + 스몰리그 50g)해보기 3/3
  • 고프로(Gopro) 보관(휴대)용 미니(S) / 중간(M) / 다이소(범용) 케이스 살펴보기
  • iptime AX6000M 공유기(25년 펌웨어) 업데이트(접속 지연) +무선랜 AX5400PX-6E.
  • 아이폰 사용자를 위한, 현대 체크카드(+ apple pay)발급
  • 네이버 머니카드(실물 카드) & 네이버 페이앱 살펴 보기 2/2
  • 페이코PAYCO 포인트 카드 (실물 카드) & 페이코앱 살펴 보기 1/2
  • [GIF] [구매 신중해야] 고프로13 전용 접사 '매크로 렌즈' 살펴보기.
  • 고프로 접이식 마운트 손목끈/목끈 U자형 (쇠)고리(걸쇠)가 필요하다면?
  • "네이버페이 머니카드" "페이코 포인트카드"의 미묘한 차이점?
  • 탄소중립포인트(cpoint.or.kr웹사이트) + 앱 Carbon Pay 알아 보기( & 그린카드)
  • 애플 맥세이프 무선 정품 충전기(24년 10월 신형) 살펴 보기.
  • LED 배터리 잔량 기능과 고프로8 구조로 돌아온 고프로13 충전기
  • 고프로 13 개봉(악세사리+) 살펴보기 + PC 인식 안될 때. 2/2
  • 노캔(ANC) 가능한 오픈형 QCY HT10 에일리버즈 프로( 플러스 X) 구경 해보기.
  • 샌디스크 Extreme 2022 micro SD SDXC 256G UHS-1 U3 V30 A2 (SQXAV) 살펴 보기
  • [희망 고문] 고프로13을 주문(구매 전 고프로13 선택 이유)하다. 1/2
  • 고프로8용 디스플레이 모듈(MOD)의 존재감에 대해...
  • 2만원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 - ISB-S5 (IRIVER)
  • 고속 충전 케이블의 "데이터 전송 기능은??" USB 3.0? USB 2.0?
  • 베사홀 모니터 암(거치대) 카멜 마운트 USB타입 PMA-2U 구입기.
  • 다이소 스마트폰 강화유리 생각외로 괜찮았다.
  • 네이버 페이 - "이상 거래가 감지되었습니다" 해결 과정
  • 고프로용 가성비 구즈넥(짭즈넥)과 클램프 살펴보기.